728x90

게으른 개발자의 끄적거림 328

[React] 하단 메뉴바 생성하는 방법

하기와 같이 하단 메뉴바 생성하는 방법 시작합니다. 일단 해당 부분 인스톨 하고npm install @react-navigation/bottom-tabs Tabs메뉴import { createBottomTabNavigator } from '@react-navigation/bottom-tabs';const MyTabs = createBottomTabNavigator({ screens: { Home: HomeScreen, Profile: ProfileScreen, },}); API 설명 backBehavior이는 goBack내비게이터에서 가 호출될 때 발생하는 동작을 제어합니다. 여기에는 기기의 뒤로 가기 버튼이나 Android의 뒤로 가기 제스처가 포함됩니다.다음 값을 지원합니다.f..

[React] 네비게이션 메뉴 useState? useSelector?

네비게이션 메뉴에 서 쓰일 정보들은 useState useSelector 어디서 관리하는게 좋을까? 무조건 리덕스(Redux)와 같은 전역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useState로도 구현은 가능하지만, 앱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 왜 리덕스가 더 효율적인가? 모바일 앱에서 하단 메뉴바(네비게이션 바)는 어떤 페이지에 있든지 항상 화면에 유지되는 최상위 컴포넌트 중 하나입니다. 사용자가 메뉴를 커스텀하는 화면은 보통 '설정'이나 '메뉴 편집' 같은 특정 페이지에 있습니다.이 상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메뉴를 변경하는 곳: '메뉴 편집' 페이지 (하위 컴포넌트)변경된 메뉴가 표시되는 곳: 하단 메뉴바 (최상위 컴포넌트)이처럼 서로 다른 위치..

[리액트] React.js 컴포넌트란?

React.js Component에 대한 자세한 설명1. 컴포넌트(Component)란?React.js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JavaScript 라이브러리로, **Component(컴포넌트)**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컴포넌트는 화면을 구성하는 독립적이고 재사용 가능한 UI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버튼, 폼, 네비게이션 바 등은 각각 하나의 컴포넌트가 될 수 있습니다. 컴포넌트를 통해 복잡한 UI를 작은 단위로 쪼개어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컴포넌트는 고유한 상태(state)와 속성(props)을 가질 수 있습니다. 2. 컴포넌트의 종류React에서 컴포넌트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2.1 함수형 컴포넌트 (Function Component)함수형 컴포넌트는 JavaS..

Open Api란?(feat. 완벽 정리)

1. Open API란 무엇인가?Open API란 **외부 개발자나 사용자에게 공개된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말합니다. API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명령, 함수, 프로토콜을 정의한 일종의 ‘접점’으로, Open API는 이러한 접점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해 놓은 것입니다.예를 들어, 네이버 지도 API를 활용하면 외부 개발자는 자신이 만든 웹사이트나 앱에 네이버 지도를 삽입하고, 검색 기능이나 경로 안내 기능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때 네이버는 지도 관련 기능을 ‘Open API’ 형태로 제공하고 있는 것입니다. 2. Open API의 특징공개성(Public Accessibility)누구나 접근할 수..

REST, REST API, RESTful API 특징 및 차이점 완벽 정리

📌 1. REST란 무엇인가?1.1 정의**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는 웹 기반 시스템 설계를 위한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이는 2000년 Roy Fielding의 박사 논문에서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REST는 구체적인 구현 기술이 아니라, 시스템 간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뤄져야 하는지에 대한 일련의 원칙과 제약 조건들로 구성됩니다. 1.2 REST의 주요 제약 조건REST 아키텍처 스타일은 다음과 같은 제약 조건을 따릅니다:클라이언트-서버 구조 (Client-Server Architecture)클라이언트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담당하고, 서버는 데이터 저장과 처리를 담당합니다. 이 분리는 서로의 역할을 독립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게 해줍니다.무상태성 (..

HTTP 402error란?

1. HTTP 상태 코드란?HTTP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 등)가 서버에 요청을 보냈을 때, 서버가 해당 요청을 어떻게 처리했는지를 숫자 코드로 알려주는 시스템입니다. 이 코드는 세 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자리 숫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1xx: 정보 제공 (Informational)2xx: 성공 (Success)3xx: 리다이렉션 (Redirection)4xx: 클라이언트 오류 (Client Error)5xx: 서버 오류 (Server Error)이 중 402 오류는 4xx 범주에 속하며, 이는 클라이언트 측의 문제로 인해 요청이 처리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HTTP 402 Payment Required의 정의HTTP 402 Payment Required는 "지..

HTTP 401error란?

HTTP 401 Error는 웹 서버가 요청을 처리하는데 있어 사용자가 인증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오류 코드입니다. 이 오류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리소스를 접근하려 할 때 필요한 자격 증명을 제공하지 않거나 제공된 자격 증명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 "Unauthorized"라는 메시지와 함께 반환되는 이 오류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인증을 시도했지만 권한을 얻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HTTP 401 오류는 주로 웹 애플리케이션, API 또는 RESTful 서비스에서 인증 관련 문제를 나타낼 때 발생합니다.  1. HTTP 상태 코드의 개요HTTP 상태 코드는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한 결과를 나타내는 세 자리 숫자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요청의 성공 여부와 함께 문제를 진단할 수..

스프링 @Bean 어노테이션이란?

Java의 @Bean 어노테이션에 대한 상세 설명Spring 프레임워크는 자바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DI)을 지원하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 중 @Bean 어노테이션은 스프링의 빈(Bean)을 수동으로 등록하는 데 사용된다. @Component, @Service, @Repository 등의 자동 감지(Annotation-based Component Scanning) 방식과 달리, 개발자가 직접 특정 객체를 빈으로 등록할 때 유용하다. 이 글에서는 @Bean 어노테이션의 동작 방식, 활용법, 주의할 점 등을 자세히 살펴본다. 1. @Bean 어노테이션이란?@Bean 어노테이션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특정 메서드가 반환하는 객체를 빈으로 등록하도록 하는 ..

Java DB연결 방법 완벽 정리

Java에서 데이터베이스(DB)와 연결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Java에서 DB 연결 개요Java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려면 JDBC(Java Database Connectivity) API를 사용해야 합니다. JDBC는 Java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고 SQL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JDBC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일반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JDBC 드라이버 로드데이터베이스 연결 (Connection 객체 생성)SQL 실행 (Statement 또는 PreparedStatement 사용)결과 처리 (ResultSet)연결 종료 2. JDBC 드라이버 설정JDBC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려면 해당 데이터베이스에 맞는 JDBC..

RPA란? (개념, 활용 사례 등)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란?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는 소프트웨어 로봇을 활용하여 반복적이고 규칙적인 업무를 자동화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사람이 수행하던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소프트웨어 봇이 대신 처리함으로써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 절감과 오류 감소를 실현할 수 있다. 1. RPA의 개념과 정의RPA는 사람이 수행하는 규칙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이는 기존의 물리적인 로봇이 아닌 소프트웨어 봇(Software Bot)을 의미하며,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한다.일반적인 RPA는 사용자의 UI(User Interface)..

728x90